
1. 머리글 – “연준·AI·리테일이 끌고, 금리·밸류가 잡아당긴 날” 🧩
오늘 미국 증시는
- 연준의 12월 금리 인하 기대가 강하게 깔려 있고,
- AI·빅테크 고밸류 부담과
- 리테일·실적 개별이슈가 뒤섞인 장이었어요.
다우, S&P500, 나스닥 모두 상승 마감하면서 지수는 좋았지만,
속으로 들어가 보면 **“어디를 실익 있게 담을지”**가 더 중요해진 국면입니다.
특히 엔비디아·AMD 조정, 리테일 급등, 금리 4% 붕괴, 금·달러·크립토 움직임이
오늘 포지션 전략의 핵심 포인트였습니다. 😎
2. 증시 요약 (11월 25일 미국장, KST 11/26 06:00 기준) 🧭
- 지수 마감 (대략)
- 다우: +1.4% 내외 급등
- S&P500: +0.9% 상승
- 나스닥: +0.7% 상승 월스트리트저널
→ 3대 지수 모두 이틀 연속 강세로, 연준 완화 기대 속 리스크온 모드 유지.
- 채권·금리
- 미 10년물 국채금리: 3.99~4.02% 수준으로 4% 아래로 재차 하락, 한 달래 최저권. Reuters+2Trading Economics+2
- 선물시장, 12월 FOMC 25bp 인하 확률 약 84~85% 반영. Reuters+1
- 섹터 대략 흐름
- 강세: 리테일/소비, 커뮤니케이션 서비스, 일부 헬스케어
- 혼조~약세: 반도체/일부 IT, 에너지(유가 하락 영향)
- 최근 일주일 기준으로는 헬스케어·커뮤니케이션이 상대 강세, 기술·에너지가 조정 흐름. 모닝스타+1
- 주요 특징주 Investopedia+1
- 코울스(KSS) +35%, 애버크롬비&피치(ANF) +30% – 깜짝 실적 & CEO 이슈
- 줌(ZM) +12% – 실적 서프라이즈 + AI 기능 채택 증가
- 엔비디아(NVDA) 약 -4%, AMD 등 반도체 동반 약세 – 메타가 구글(Alphabet) 칩 검토 보도
- 코인베이스(COIN), 로빈후드(HOOD), MARA, MSTR 등 크립토 관련주 약세 – 비트코인 조정
- 금 가격 상승, 유가 하락, 달러 약세
지수의 방향은 좋았지만, **속 내용은 ‘AI 고평가 부담 vs 연준 완화 기대 vs 개별 실적 잔치’**로 보는 게 맞습니다.
3. 오늘의 핵심 이슈 10+가지 정리 🔍
1️⃣ 이슈: “12월 연준 금리 인하 확률 85%… 10년물 4% 붕괴” 💸
배경
- 연준 위원들(Waller 등)이 12월 추가 완화에 우호적인 발언을 이어가며,
- 최근 고용·경기 지표가 “뜨겁지 않은” 쪽으로 나오자
**“연준이 이제 확실히 완화 모드”**라는 인식이 커졌습니다. CaixaBank Research+2Reuters+2
영향
- 단기:
- 금리 민감 성장주(빅테크, 고성장주)에는 할인율 하락 효과 → 밸류 정당화 요인이지만,
- 이미 많이 오른 일부 AI·테크에는 “뉴스 팔기” 단기 변동성도 유발.
- 중·장기:
- 완화 사이클 본격화 시 경기 연착륙·소프트 랜딩 시나리오에 힘.
- 다만 너무 빨리/크게 내리면 “경기 둔화가 더 심한 것 아니냐”는 역설적 공포도 나중에 올 수 있음.
수혜주 아이디어
- 고 듀레이션 성장·퀄리티 빅테크:
- MSFT, GOOGL, META, AMZN – 금리 하락에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.
- 배당주·리츠:
- O(리얼티 인컴), PLD(물류 리츠), 공공서비스(NEE 등) – 채권 금리와 경쟁하던 섹터에 재평가 여지.
피해주 아이디어
- 전통 은행주: JPM, BAC 등 – 예대마진 축소 우려 (금리 인하 → 순이자마진 압박).
- 달러 강세 수혜 수출주: 달러 약세 전환 시, 해외수출/환차익 모멘텀 약화 가능.
리스크 등급: 중
공격형 전략
- 연준 인하 모멘텀에 빅테크·성장 ETF(QQQ, VGT 등) 비중을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 확대하되,
- 손절/분할 매도 룰을 미리 정해 과열 구간에서 일부 차익 실현.
보수형 전략
- 배당/리츠 + 퀄리티 빅테크를 섞는 바벨 전략
- 금리 인하 수혜 리츠·배당주로 캐시플로우 확보
- 동시에 S&P500 혹은 QQQ 소량으로 성장 노출
- 차선책: 현금 20~30% 유지하며 FOMC 전후 변동성에 분할 매수 대기.
2️⃣ 이슈: “미국 기술주 밸류에이션, 실적 비중보다 너무 커졌다” 🧮
배경 Reuters
- 리포트에 따르면
- S&P500 이익에서 IT 비중: 20.8%
- 시가총액 비중: 31.1%
- 나스닥의 선행 PER 29배로,
- 10년 평균(약 23.5배)과
- S&P500(약 24배)보다 훨씬 높은 수준.
- AI 기대가 밸류를 계속 끌어올리면서, 이익/밸류 괴리가 커지는 중.
영향
- 단기:
- AI/빅테크에 뉴스 하나만 나와도 지수 전체가 흔들리는 구조.
- 중·장기:
- 실적이 밸류를 따라오면 또 한 번의 랠리,
- 못 따라오면 중·두 자릿수 조정 가능성 (리포트에서도 mid-single digit~double digit 조정 언급).
수혜주
- 밸류 대비 덜 오른 퀄리티 가치주/디펜시브
- 헬스케어: JNJ, LLY(비싸지만 성장 확실), UNH
- 통신·커뮤니케이션 중 안정 캐시플로우: T, VZ
- “밸류 + AI” 혼합 기업
- ORCL, IBM 등 – IT이지만 빅7 대비 밸류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음.
피해주
- 밸류 프리미엄이 과도한 “순수 스토리형 AI주”
- 매출/이익이 아직 뚜렷하지 않은 소형 AI 플레이어들
- 지수 상위 “Magnificent 7” 중, 실적 모멘텀이 둔화되는 종목은
- 지수 조정 시 추가 하방압력에 노출.
리스크 등급: 고
공격형 전략
- AI·빅테크 콜옵션/레버리지 ETF 대신,
- 현물·일반 ETF + 헤지(풋옵션/인버스 일부) 조합으로 변동성 활용.
- 단기 조정 시,
- NVDA, META, MSFT 등 핵심 AI 인프라를 “조정 시 분할 매수”로 접근.
보수형 전략
- 포트에서 빅테크 비중을 30~40% 이하로 관리하고
- 나머지는 배당·가치·디펜시브로 분산.
- 차선책: 개별 종목 대신
- S&P500 ETF(SPY, IVV) 위주로 가져가서 빅테크 리스크를 희석.
3️⃣ 이슈: “엔비디아·AMD 동반 급락 – 메타, 구글 칩 검토” 🤖
- 보도에 따르면 **메타(META)**가
구글(Alphabet)의 AI 칩 사용을 검토하면서 - 오늘 엔비디아(NVDA) 약 -4%,
- 경쟁사 AMD 등 다른 반도체도 동반 하락.
영향
- 단기:
- “AI 칩 단일 공급 리스크”가 부각되며
엔비디아/AMD에 밸류·점유율 조정 우려.
- “AI 칩 단일 공급 리스크”가 부각되며
- 중·장기:
- 빅테크(메타, 구글, 아마존 등)가
자체/다변화 칩 전략을 강화한다는 의미로,
AI 칩 시장이 더 경쟁적으로 변함.
- 빅테크(메타, 구글, 아마존 등)가
수혜주
- Alphabet (GOOGL)
- 메타가 구글 칩을 본격 채택할 경우,
클라우드·AI 인프라 매출 레버리지.
- 메타가 구글 칩을 본격 채택할 경우,
- TSM(대만 TSMC)
- 다양한 빅테크/팹리스 칩 생산의 수혜 허브 역할 지속.
피해주
- NVDA, AMD
- 단기적으로 “AI 독점 서사”에 균열 → 멀티플 재조정 압력.
- 고베타 AI 반도체 ETF/테마주
- NVDA 한 종목 움직임에 따라 ETF 전체 변동성 확대.
리스크 등급: 고
공격형 전략
- NVDA/AMD는 추세 하락 전환 여부 확인 전까진
- 신규 추격 매수보단 조정 깊게 나올 때 분할 접근.
- AI 인프라를 사고 싶다면
- GOOGL, MSFT, META처럼 **“칩을 사는 쪽(수요 측)”**으로 일부 무게 이동.
보수형 전략
- 개별 반도체보다는
- SOXX, SMH 같은 반도체 ETF로 리스크 분산.
- 차선책: AI 노출은 S&P500, 나스닥 ETF로 간접 보유하고
- 반도체 개별은 비중 5~10% 이내 소규모만.
4️⃣ 이슈: “리테일 폭등 – 코울스(KSS) +35%, ANF +30%” 🛍️
배경 Investopedia
- 코울스(KSS):
- 깜짝 흑자 전환 + CEO 확정 뉴스로
- 35% 급등 (이전 CEO 스캔들 이슈 뒤 새 리더십에 대한 신뢰 회복).
- 애버크롬비&피치(ANF):
- 실적 상회, 특히 Hollister 브랜드 매출 호조가 연말 성수기 기대를 키움.
영향
- 단기:
- 리테일 전반에 “생각보다 소비 괜찮네?”라는 심리 개선.
- 중·장기:
- 구조적으로 강한 브랜드/옴니채널(온라인+오프라인) 갖춘 리테일 위주로
옥석 가리기 진행.
- 구조적으로 강한 브랜드/옴니채널(온라인+오프라인) 갖춘 리테일 위주로
수혜주
- KSS, ANF – 단기 모멘텀 강력.
- 같은 Mid-tier 리테일/의류 중
- 실적 개선 스토리가 있는 M, GPS, JWN 등 체크 포인트.
피해주
- 직접적으로 피해를 보는 섹터라기보다는,
- **디펜시브(유틸리티, 일부 리츠)**에서
리스크온으로의 자금 이동이 발생할 수 있음.
- **디펜시브(유틸리티, 일부 리츠)**에서
리스크 등급: 중~고 (개별 종목 변동성 매우 큼)
공격형 전략
- 실적 서프라이즈 리테일주를
- 추세 추종 단기 트레이딩으로 활용 (철저히 손절 라인 설정).
- 블랙프라이데이/연말 소비 데이터까지 보고
- 단기 스윙 트레이드 위주 접근.
보수형 전략
- 리테일 개별 대신
- XLY(소비재 ETF) 등으로 완만하게 노출.
- 차선책: 이미 많이 오른 개별 리테일은 추격 매수 자제,
- 실적 발표 전후 조정 때만 소액 분할 매수.
5️⃣ 이슈: “줌(Zoom) +12% – AI 기능 수요, 실적 서프라이즈” 🎥🤖
- 줌(ZM)이
- EPS, 매출 모두 컨센 상회
- AI 기능(회의 요약, 자동 기록 등) 채택이 빠르게 늘며
- 가이던스 상향까지 나오자 주가 12% 급등.
영향
- 단기:
- “AI를 실질 서비스에 녹여서 돈을 벌어내는”
소프트웨어/플랫폼 기업에 대한 재평가.
- “AI를 실질 서비스에 녹여서 돈을 벌어내는”
- 중·장기:
- 구독형 SaaS + AI 기능이
ARPU 상승과 이탈률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례를 제공.
- 구독형 SaaS + AI 기능이
수혜주
- ZM 자체
- AI 기능을 빠르게 붙이고 있는
- MSFT(Teams), CRM, NOW, ADOBE 등 B2B SaaS.
피해주
- 경쟁력이 떨어지는 구형 커뮤니케이션/콜센터 소프트웨어 업체들
- AI 기능이 부족하면 구조적으로 밀릴 위험.
리스크 등급: 중
공격형 전략
- “AI+SaaS” 테마를 묶어서
- 개별주(Zoom 포함) 스윙 트레이딩.
- 단, 구조적으로 MOAT가 강한 기업 중심(Teams/MSFT, CRM 등)으로 집중.
보수형 전략
- 개별 대신
- 클라우드/소프트웨어 ETF (IGV, CLOU 등) 활용.
- 차선책: 이미 보유 중이라면
- 실적 서프라이즈 구간에서 일부 차익 + 일부는 장기보유로 분할 전략.
6️⃣ 이슈: “크립토·코인베이스 약세 – 비트코인 8만7천달러대 조정” ₿
- 비트코인이 최근 급등 후
약 87,200달러 수준으로 조정. - 이에 따라
- COIN, HOOD, MARA, MSTR 등
크립토 관련주들이 하락세 연장.
- COIN, HOOD, MARA, MSTR 등
영향
- 단기:
- 레버리지·단타 자금이 많이 몰린 섹터라
변동성 확대, 마진콜·강제청산 이슈 상시 존재.
- 레버리지·단타 자금이 많이 몰린 섹터라
- 중·장기:
- 규제/ETF·기관수요 등 구조요인이
상승/하락 양방향으로 큰 파동을 만들 수 있음.
- 규제/ETF·기관수요 등 구조요인이
수혜주
- 전통 금융주(블랙록, CME 등) –
- 규제 친화적인 인프라/파생상품 등에서
중장기 수혜 가능.
- 규제 친화적인 인프라/파생상품 등에서
피해주
- COIN, HOOD, MARA, MSTR –
- 비트코인 방향성에 레버리지처럼 연동되며
변동성·규제 리스크 모두 높음.
- 비트코인 방향성에 레버리지처럼 연동되며
리스크 등급: 고
공격형 전략
- 크립토 관련주는 철저히 트레이딩 영역으로 두고
- 비중 5~10% 이내,
- 손절·익절 룰 명확히.
보수형 전략
- 주식 포트에서는
- 크립토 익스포저를 거의/전혀 두지 않는 것도 충분히 합리적.
- 차선책: 크립토에 관심이 크다면
- 직접 코인 매수보다는, 규제 ETF·대형 금융사를 통해 간접 노출.
7️⃣ 이슈: “금 가격 상승·유가 하락·달러 약세” 🪙🛢️
배경 Investopedia+2Investopedia+2
- 금: 경기·지정학 우려 + 금리 하락 → 금 가격 상승
- 유가: 수요 둔화 우려 + 공급 이슈 완화 → 유가 하락
- 달러: 연준 완화 기대 → 달러 약세
영향
- 단기:
-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(유가↓)는 연준 인하 정당성 강화.
- 금↑는 리스크 헤지 수요를 반영.
- 중·장기:
- 에너지 섹터 이익 전망은 다소 조정,
- 금광·귀금속 섹터는 중장기 헤지 자산으로 부각.
수혜주
- 금광주: NEM, AEM 등
- 리츠/배당주 – 인플레 압력이 완화되면
실질배당수익률 매력이 커짐.
피해주
- 에너지 메이저: XOM, CVX 등 –
유가 하락 시 단기 실적 기대치 조정.
리스크 등급: 중
공격형 전략
- 단기 유가 하락 구간에서
- **우량 에너지주(XOM, CVX)**를
배당 관점에서 분할 매수 기회로 활용 가능.
- **우량 에너지주(XOM, CVX)**를
- 금 가격 모멘텀을 보고
- 금광주·금 ETF(GLD, GDX) 단기 트레이딩도 가능.
보수형 전략
- 포트의 5~10% 수준에서
- 금/금광 ETF로 리스크 헤지.
- 에너지주는
- 고배당·우량 위주로만 소량 유지.
8️⃣ 이슈: “헬스케어·커뮤니케이션 서비스, 최근 상대 강세” 🏥📡
배경 모닝스타+1
- 최근 1주일 기준
- 미국 시장에서 헬스케어 +1.8%,
-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+1.4% 상승하며
- 지수 대비 방어적·안정적 강세를 보임.
영향
- 단기:
- AI·테크 조정 시 자금 피난처 역할.
- 중·장기:
- 고령화·필수 서비스 수요로
구조적 성장이 가능한 섹터.
- 고령화·필수 서비스 수요로
수혜주
- 헬스케어: UNH, JNJ, LLY, ABBV
- 커뮤니케이션: GOOGL, META, TMUS, NFLX
피해주
- 상대적으로
- **순수 경기민감주(산업재, 일부 소재)**에서
자금이 빠져나올 수 있음.
- **순수 경기민감주(산업재, 일부 소재)**에서
리스크 등급: 저~중
공격형 전략
- AI·테크에 이미 무겁게 올라탄 투자자라면
- 일부 익절 후 헬스케어/커뮤니케이션으로 섹터 로테이션.
보수형 전략
- 장기 포트의 코어 섹터로 헬스케어·커뮤니케이션 비중 확대,
- S&P500 ETF + 헬스케어 ETF(VHT, XLV) 조합 추천.
9️⃣ 이슈: “S&P500 2026년 8,000포인트 전망 vs 단기 과열 논쟁” 🎢
배경 Reuters+1
- 일부 대형 리서치(예: 도이치뱅크)가
2026년 말 S&P500 8,000포인트 전망 제시. - 동시에,
- 기술주 고평가,
- 나스닥 선행 PER 29배 등 단기 과열 논쟁도 확대.
영향
- 단기:
- “장기 낙관 + 단기 과열”이 섞여
FOMO vs 조정 공포가 동시에 존재.
- “장기 낙관 + 단기 과열”이 섞여
- 중·장기:
- 미국 경제·기업 이익 성장만 유지된다면
장기 우상향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.
- 미국 경제·기업 이익 성장만 유지된다면
수혜주
- S&P500 전체를 추종하는
- SPY, IVV, VOO 등 – “미국 전체 성장 베팅”.
피해주
- 단기 테마 과열 종목들은
- 지수 조정 시 더 큰 낙폭에 노출.
리스크 등급: 중
공격형 전략
- 단기 조정이 오면
- S&P500·나스닥 ETF를 과감히 분할 매수하며
- 1~3년 뷰로 가져가는 전략.
보수형 전략
- 적립식(월별/분기별)으로
- 인덱스 ETF를 꾸준히 모으는 방식 유지.
- 차선책: 지금은 추가매수보다
- 기존 포지션 유지 + 현금 비중 약간 상승.
🔟 이슈: “소비·고용 지표 둔화 vs 연착륙 기대” ⚖️
배경 월스트리트저널+2CaixaBank Research+2
- 최근 소비자 신뢰지수 약화 등
- “경기가 너무 뜨겁진 않다”는 시그널이 늘어남.
- 연준은 이를 근거로
- 완화 쪽으로 기울고,
- 시장은 “경기 연착륙”에 베팅 중.
영향
- 단기:
- 경기민감주에는 부담,
- 대신 연준 완화 기대로 지수는 버텨주는 그림.
- 중·장기:
- 소프트랜딩이면 최고 시나리오,
- 하드랜딩이면 이익 추정치 대폭 하향 필요.
수혜주
- 안정적 캐시플로우 가진
- 배당주, 필수소비재(PG, KO, COST),
- 헬스케어, 유틸리티 일부.
피해주
- 사이클 민감 산업(철강, 화학, 일부 산업재) –
경기 둔화에 민감.
리스크 등급: 중
공격형 전략
- 경기 둔화 우려 과도 시점엔
- 경기민감 + 가치주를 오히려 분할 매수.
보수형 전략
- 필수소비재 + 헬스케어 + 배당주 비중 확대로
- 경기 국면과 상관없이 포트 안정감 확보.
1️⃣1️⃣ 이슈: “장 초반 테크 약세에도 지수는 강세 – 스타일·섹터 로테이션 본격화” 🔄
- 오늘도 엔비디아·AMD 등 일부 테크는 약세였지만,
- 리테일, 일부 디펜시브, 헬스케어 등으로
자금이 빠르게 이동하면서
전체 지수는 상승 마감.
영향
- 단기:
- “테크 빠져도 지수는 버티는” 장 →
섹터/스타일 선택이 수익률을 결정.
- “테크 빠져도 지수는 버티는” 장 →
- 중·장기:
- 한 섹터에 몰빵된 포트는
언젠가 크게 흔들릴 수 있음을 재확인하는 구간.
- 한 섹터에 몰빵된 포트는
수혜주/섹터
- 리테일/소비, 헬스케어, 일부 가치주/디펜시브.
피해주/섹터
- 단기 고평가 성장·AI주.
리스크 등급: 중
공격형 전략
- 테마별로 강약을 보며
- 섹터 로테이션 트레이딩 (예: 테크 조정 시 매수, 리테일 급등 시 단타).
보수형 전략
- 섹터 ETF를 섞어서
- S&P500 + 헬스케어 + 소비 + 약간의 테크를 고루 보유.
4. 종합 대책 – 오늘 장, 이렇게 정리해서 대응하자 🧠
🔹 공통 인식 정리
- 연준 완화(금리 인하 기대)
→ 시장의 중·장기 방향성은 아직 상승 쪽에 무게. - AI·빅테크 고밸류 + 엔비디아·AMD 조정
→ “무조건 AI” 구간은 지나고,
실적·밸류·경쟁구도를 따지는 구간으로 진입. - 리테일·헬스케어·커뮤니케이션 등 섹터 로테이션
→ 개별 종목보다 섹터/스타일 배분이 수익률을 좌우. - 금리 4% 붕괴, 금↑·유가↓·달러↓
→ 인플레 압력은 낮아지지만,
동시에 경기 둔화 시그널도 함께 존재.
🔹 공격형 투자자 전략 🎯
- 포트 구성(대략)
- AI·빅테크·반도체: 30~40%
- 헬스케어·커뮤니케이션: 20~30%
- 리테일·소비·경기민감: 20% 내외 (실적 좋은 종목 중심)
- 현금/단기채/헤지: 10~20%
- 아이디어
- 엔비디아·AMD 조정 구간에서
분할 매수 + 손절 라인 명확히 두고 스윙. - 줌(ZM), 리테일 강세주(KSS, ANF 등)는
철저한 단기 모멘텀 플레이로 접근. - 시장 전체는
- 나스닥·S&P ETF(QQQ, SPY)를 활용해
조정 시 레버리지 없이 현물 위주로 추가 매수.
- 나스닥·S&P ETF(QQQ, SPY)를 활용해
- 엔비디아·AMD 조정 구간에서
- 리스크 관리
- 빅테크·AI 비중이 50% 이상 넘어가면
→ 일부를 헬스케어·필수소비·금광 ETF로 옮겨 완충 장치 확보.
- 빅테크·AI 비중이 50% 이상 넘어가면
🔹 보수형 투자자 전략 🛡️
- 포트 구성(대략)
- S&P500/나스닥 ETF: 30~40%
- 헬스케어·필수소비·커뮤니케이션: 30~40%
- 배당주·리츠·채권: 20~30%
- AI/반도체 개별: 0~10% (상징적 수준)
- 아이디어
- 지금처럼 지수 고점 근처에서는
추격 매수보다 적립식 매수에 집중. - AI/반도체·크립토 관련 고베타 종목은
포트 전체의 5~10% 이내로 제한. - 금리 인하 사이클을 고려해
리츠·우량 배당주를 천천히 늘려가는 전략.
- 지금처럼 지수 고점 근처에서는
- 차선책
- 현재 포지션을 크게 바꾸지 않고,
현금 20% 안팎을 유지하며- FOMC 결과
- 향후 1~2개월 경기·지표 흐름
을 본 뒤 점진적 매수/리밸런싱.
- 현재 포지션을 크게 바꾸지 않고,
5. 마무리 – 오늘 미국장, 이렇게 기억하면 됩니다 ✨
정리해보면,
- 방향성은 여전히 위(연준 완화, 경기 연착륙 기대)
- 속 내용은 점점 까다로움 (AI 고밸류, 섹터 로테이션, 개별 실적 장세)
따라서 **“지수는 ETF로, 승부는 섹터/종목 선택으로”**라는 구조가
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.
공격형 투자자는
- AI·반도체·리테일 같은 고베타 섹터에서 단기 기회를 노리되,
- 항상 손절·분할매매·섹터 분산을 같이 가져가야 하고,
보수형 투자자는
- S&P500 + 헬스케어·배당·필수소비로
시장의 큰 흐름을 따라가면서 - 오늘 같은 변동성 뉴스들을
**“매월 적립식, 가끔 리밸런싱”**의 재료 정도로 활용하는 게 좋아 보입니다. 😊
이 정리 그대로 블로그에 가져다 쓰신 뒤,
내일 아침에도 같이 체크해 보면서
“데일리 미국증시 루틴” 하나 만들면
리듬 잡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. 📅📊
구독과 좋아요, 그리고 댓글로
오늘 가장 인상 깊었던 이슈도 한 줄 남겨주세요.
어떤 섹터를 가장 눈여겨보고 계신지도 궁금합니다! 💬💖
'미국주식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2025년 11월 25일 미국증시 핵심이슈 총정리 (1) | 2025.11.25 |
|---|---|
| 2025년 11월 22일 미국증시 핵심이슈 총정리 (0) | 2025.11.22 |
| 🗓 2025년 11월 21일 미국증시 핵심이슈 총정리 (0) | 2025.11.21 |
| ✅ 2025년 11월 20일 미국증시 핵심이슈 총정리 (0) | 2025.11.20 |
| 2025년 11월 19일 미국증시 핵심이슈 총정리 (1) | 2025.1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