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🐧 리눅스 시스템 관리자라면 꼭 알아야 할 명령어 총정리

동글이대표 2025. 4. 16. 23:58

리눅스 시스템을 관리하려면 단순히 파일을 다루는 수준을 넘어, 시스템 자원 관리, 사용자 계정 제어, 서비스 관리, 네트워크 점검 등 다양한 능력이 요구됩니다. 이를 위해 반드시 익혀야 할 핵심 명령어들을 분야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


🔧 시스템 상태 확인 명령어

✅ top / htop –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

  • top: CPU, 메모리, 프로세스 등 실시간 시스템 정보 확인
  • htop: top의 개선 버전, 컬러 UI 및 마우스 지원
bash
복사편집
top htop # 설치 필요: sudo apt install htop

✅ df – 디스크 용량 확인

디스크 파티션별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bash
복사편집
df -h

-h: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(G, M 단위)


✅ du – 특정 폴더 용량 확인

특정 디렉토리의 실제 사용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bash
복사편집
du -sh /var/log

-s: 요약 표시 / -h: 보기 쉽게


👤 사용자 및 권한 관리

✅ 사용자 추가/수정/삭제

bash
복사편집
sudo useradd -m username # 사용자 추가 sudo passwd username # 비밀번호 설정 sudo usermod -aG sudo username # sudo 권한 추가 sudo userdel -r username # 사용자 삭제

✅ 권한/소유권 변경

bash
복사편집
chmod 755 script.sh # 실행 권한 부여 chown user:group file.txt # 소유자 및 그룹 변경

⚙️ 서비스 및 프로세스 관리

✅ systemctl – 서비스 제어

bash
복사편집
sudo systemctl start nginx # 시작 sudo systemctl stop nginx # 정지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# 재시작 sudo systemctl enable nginx # 부팅 시 자동 시작 sudo systemctl status nginx # 상태 확인

✅ ps / kill / killall – 프로세스 관리

bash
복사편집
ps aux # 전체 프로세스 목록 kill 1234 # PID로 종료 killall nginx # 이름으로 프로세스 종료

🌐 네트워크 확인

✅ ip / ss / ping / netstat

bash
복사편집
ip a # IP 주소 확인 ss -tuln # 열려 있는 포트 및 소켓 확인 ping google.com # 네트워크 연결 확인 netstat -tulnp # (구버전 지원용)

📁 로그 확인 및 시스템 메시지

✅ journalctl – 시스템 로그 확인

bash
복사편집
journalctl -xe # 에러 로그 확인

✅ dmesg – 커널 메시지 확인

bash
복사편집
dmesg | tail

🔐 방화벽 설정

✅ ufw – 간편한 방화벽 설정

bash
복사편집
sudo ufw enable # 방화벽 활성화 sudo ufw allow 22/tcp # 포트 허용 (예: SSH) sudo ufw status # 현재 상태 확인

방화벽을 처음 다룬다면 ufw가 가장 쉬운 선택입니다.


✅ 요약 정리

범주명령어설명
시스템 모니터링 top, htop 실시간 자원 확인
디스크 관리 df, du 디스크/디렉토리 용량 확인
사용자 관리 useradd, usermod, passwd, userdel 사용자 계정 제어
권한 관리 chmod, chown 파일 권한 및 소유자 설정
서비스 제어 systemctl 데몬/서비스 시작, 중지, 상태 확인
프로세스 제어 ps, kill, killall 프로세스 확인 및 종료
네트워크 점검 ip, ss, ping IP 및 연결 상태 확인
로그 확인 journalctl, dmesg 시스템 로그 및 커널 메시지
방화벽 설정 ufw 간단한 방화벽 제어

마무리

리눅스는 강력한 만큼, 다양한 명령어를 잘 알고 활용할 수 있어야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위에서 소개한 명령어들을 꾸준히 실습해보고, 실제 상황에 적용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